1. 휴대폰 카메라로 QR코드를 스캔하세요.
2. 휴대폰에서 바나나몰을 로그인 해주세요.
3. 아래의 숫자를 선택하면 로그인됩니다.
남은 시간 00:00
많은 일반인들이 흔히 접하는 요실금, 과민성방광, 그리고 추운 계절에 자주 발생하는 급성요폐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지만, 질환 특성상 젖극적인 치료를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가 실제 국내 9개 대학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를 조사한 결과, 1만 명당 8.4명이 급성요폐로 응급실을 찾고 있을 정도로 많은 환자들이 고생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제대로 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 민성방광 및 요실금은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이 앓고 있는 만성질환으로 신체적 활동 장애와 정신적 고통을 증가 시켜,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특히, 요실금의 경우 국내 40대 이상의 성인 여성의 40%가 앓고 있는 흔한 질환이다. 하지만 노화로 인한 증상으로 여겨 방치하거나, 수치스럽게 생각해 숨기는 경우가 많아 질환의 만성화를 야기 시킨다.
급성요폐는 방광에 소변이 꽉 찼음에도 불구하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전혀 아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방광염, 출산, 수술 등으로 인해 여성에게서도 자주 발생하며, 특히 환절기 및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이들 만성방광질환 환자들의 심각한 문제는 전문의와의 상담 등을 통해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오히려 기저귀 등 보조요법에 의존해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만성방광질환을 방치할 경우, 요로감염, 신부전 등 심각한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에서 열거된 주요 방광 3대 질환에 대해 을지병원 의료진들을 통해 증상 및 정확한 진단과 치료 정보를 알아보자.
◇ 과민성 방광증후군이란?
방광이 자극에 예민해 소변이 가득 차 있지 않은데도 갑자기 참을 수 없는 요의를 느끼게 되는 ‘요절박’을 자주 경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런 환자들은 ‘요절박’이 거의 모든 경우에서 있고 그 외에도 소변 횟수가 잦아지는 ‘빈뇨’, 갑자기 참을 수 없는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새는 ‘절박성 요실금’ 등도 빈번하게 호소하게 된다.
과민성 방광증후군은 신경계 이상에 의한 경우와 방광 자체에만 기인하는 경우로 대별된다. 뇌졸중, 치매 등 신경계 질환 환자에서 흔히 위의 증상들을 관찰할 수 있으나, 신경학적으로 문제가 없는 사람들도 노화 및 방광조직 변성의 결과로 얼마든지 과민성 방광 증상들을 경험할 수 있다. 또 성인 남성에서 흔한 전립선비대증 환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소변배출 장애에 의한 괴로움 외에 과민성 방광에 해당하는 여러 증상들로 인하여 괴로움을 느낀다.
과민성 방광은 방광염과는 다르다. 방광염은 주로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으로 빈뇨와 절박뇨 등 증세는 비슷하나 배뇨 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세균 감염에 의한 급성방광염은 항생제 투약으로 대부분 치료되지만 적절한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과민성 방광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전문의는 “과민성방광증후군은 우리나라 40대 이상, 성인 남녀의 약 30%이상이 가지고 있을 만큼 흔한 질병이다. 최근 들어서는 젊은 층에서도 눈에 띄게 환자가 늘고 있다. 이는 방광을 자극하는 음식으로 알려진 카페인이 든 커피, 알콜, 탄산음료 등의 소비가 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과도한 스트레스, 긴장 상태에서 오랫동안 앉아서 업무를 보는 컴퓨터 작업이 늘어난 탓도 있다”고 조언했다.
◇ 과민성 방광증후군 치료법
과민성 방광증후군이 있어도 적극적인 치료를 회피하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젊은 여성들은 수치심에 조기 치료를 미루다가 만성병으로 키우는 경향이 크다.
치료는 정상적인 방광 기능 회복과 나쁜 배뇨습관의 교정을 치료해야 한다. 따라서 3∼6개월 정도 꾸준히 치료받도록 해야 한다. 병원에서의 치료는 우선 약물 요법이 있다. 방광의 불수의적이고 비정상적인 수축을 억제하는 항무스카린제가 주로 사용된다. 약을 먹으면 입이 마르는 등의 부작용이 있으나 최근에는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방광의 비정상적 수축만 억제하는 치료제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약물요법은 행동치료와 운동요법 등을 병행해야만 확실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행동요법과 약물치료로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면 방광 내 약물 직접 투여법이나 기구를 몸속에 삽입하여 배뇨신경을 조절하는 신경조정술 등의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증세 호전을 위해서는 방광에 자극을 주는 매운 음식을 피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수영,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도 장운동을 좋게 하고 골반근육을 긴장시켜 증세 예방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마라톤 등 너무 과격한 운동은 오히려 방광을 심하게 자극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